개발 이야기/Terminal

Git Bash - 소개 / 한글이 출력되지 않거나 깨지는 문제

S.H.S 2023. 10. 15. 01:31

Git Bash 소개

https://gitforwindows.org

 

대중적인 Window 운영체제의 경우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PowerShell이나 Prompt 터미널이 있지만

OS 자체에서 GUI 구성이 너무 잘 되어있다보니 개발자가 아닌 이상 CLI를 사용할 일이 생각보다 많지 않다.

 

개발을 하는 입장에서는 GUI 방식을 선호하지 않는다.

터미널을 사용한 CLI 방식이 훨씬 간결하고, 편하고, 다루기 쉽고, 빠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Window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터미널들의 CLI 명령어들이

기존 익숙한 UNIX 환경의 CLI 명령어와 다르다보니 불필요한 학습도 따르고 무엇보다 기존 CLI 명령어에 익숙해진 이용자들에게는 너무 불편하기 그지없다.

 

다행히 WSL, Window 운영체제에서도 Linux 운영체제를 작동할 수 있게 되었지만

Window 운영체제를 유지하며 CLI를 사용하고 싶은 사용자도 분명 존재할 것이다. 

 

그런 사용자들에게 Git Bash는 Window 운영체제에서도
LINUX 및 UNIX 환경에서의 명령어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고마운 터미널이다.
보통 Git을 설치하게 되면 Git Bash 또한 같이 설치된다.

 

 


한글이 출력되지 않거나 깨지는 문제

안타깝게도 여러 이유로 인해 한글이 제대로 출력되지 않는 문제를 겪을 수 있는데
이를 온전히 해결하기 위해서는 2가지 작업이 필요하다.

 

세계 언어 지원을 위해 Unicode UTF-8 사용

WIndow 운영체제 지역 설정 화면

설정 > 언어 > 기본 언어 설정 >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용 언어를 누르면 진입할 수 있다.

 

  •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언어를 선택하게 되는 화면이다.
  • 알다시피, Git Bash와 Window 운영체제 간에 서로 문자 인코딩이 달라서 제대로 된 한글이 출력되지 않는다.
  • 보통 Git Bash에서 한글은 잘 나오지만 이상하게도 명령 옆 상태 표기 문자에서 한글이 깨지는 경우 대다수는 이 경우(문제)이다.
  • 따라서 Unicode UTF-8를 사용하게 설정한다. 
  • 주의할 점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서 인코딩 문제로 한글이 안나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프로그램 내에서 UTF-8 사용

Git Bash - Options

Git Bash 창을 우클릭하면 메뉴가 나오는데 이중 Options를 눌러 진입할 수 있다.

 

  • Locale을 ko_KR로, Character set을 UTF-8로 설정하고 Save를 한다.
  • 수동으로 지정하지 않으면 default로 잡히는데 문제는 Window 운영체제에 한글이 아닌 여러 언어팩을 같이 설치했을 때 이 default 값이 한글이 아닌 다른 언어로 지정됐을 확률이 높다.
  • Git Bash 내에서 한글이 제대로 출력되지 않는다면 높은 확률로 이 경우(문제)이다.